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일반 예외
- 코딩테스트준비
- 예외
- 예외클래스
- 실행 예외
- 항해99
- try-catch-finally 블록
- 예외 처리
- 다중 catch 블록
- 99클럽
- 로켓펀치 #취준컴퍼니 #취업 #일상 #취준생
- 개발자취업
- throws 키워드
- til
- Today
- Total
목록CS (15)
inn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Etfs/btrHEYlIogh/B1Ucicsf6LJoy7xKXEx7c0/img.png)
어제는 ERD와 IE 표기법에 대해서 배웠다 ERD와 다르게 IE 표기법은 관계를 마름모가 아닌 선으로만 나타낸다고 한다. 가령, 점선은 강한 개체 타입. 실선은 약한 개체타입 등 선의 종류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고있다. 표기법은 아래와 같다. 어떤 게 더 좋은 지는 없다. 상황에 따라 다름 연습문제 답: https://sy-programmingstudy.tistory.com/34 [오라클로 배우는 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 6장 연습문제 오라클로 배우는 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 6장 연습문제 풀이입니다. 학교 과제로 혼자서 푼 내용을 공유합니다. 오류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 ① ② ③ ④ 1.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 sy-programmingstudy.tistory.com 혼자 연습문제 풀다..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논리적으로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 구조적으로 통합해 놓은 것. 1. 데이터, 정보, 지식의 차이 데이터 : 관찰의 결과로 나타난 정량적 실제 값. 정보 :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한 것. 지식 :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이해. ex ) 에베레스트 산의 높이 = 데이터 / 에베레스트 산의 지리적 특성 = 정보 / 에베레스트산을 올라가는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한 보고서 = 지식 데이터가 모이면 정보. 정보가 모이면 지식이 된다. 2.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패스트푸드에서 500원짜리 아이스크림을 사먹었다? 그 영수증이 패스트푸드점의 데이터베이스가 된다. 결제하는 순간, 패스트푸드의 판매 데이터 베이스에 체인점 이름, 번호, 판매자 시간, 결제 방법 등 데이터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Mu4N/btrHd1cVCA5/zMGMZDik8Eyu56NnXVWYw1/img.png)
인덱스는 ㅇ아마 우리한테 맡기지 않을꺼임 시스템을 잘 알아야하니까 선택도가 낮을 때 유리 선택도가 높은거 = 남여 둘뿐일떄 이런거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jspy6/btrGGbfcfHC/W6wZD6WRjZKtNCXgSTGuY1/img.png)
데이터베이스는 통상 3 단계 제일 바깥엔 외부 스키마(구조) ; 사용자가 보는 데이터 > 그다음 개념 스키마; 가령 학사행정이면 학사행정에 관련된 db를 외부에서 보는 외부스키마1은 학생이 보는거 외부스키마2 교수가 보는거. > 외부 스키마는 사용자별로 보는 뷰 를 외부스키마라고 한다. 그러니까 개념 스키마와 외부 스키마가 동그라미 : 0 또는 ( 그 이상 없을 수 도 있다는 것 ) 이런것을 ERD 설계라고 함 개념어 위주로 정리하기. 정리하지 않으면 남는게 없다 데이터 : 관찰의 결과로 나타난 정량적 혹은 정석적인 실제 값. 정보 :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한 것. 지식 :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이해. 데이터베이스 :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논리적으로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 구조적으로 통합해 놓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yZAMB/btrGnXbchB4/5j7L5rJhw2WrShH2RqA511/img.png)
소켓 프로그래밍이라고 하는 것은 네트워크 상에 데이터 주고 받을 때 소켓을 사용한다. 얠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하는 게 소켓 프로그래밍임. 서로 주고 받으려고 프로그래밍하는것 중에 가장 신뢰도 있는게 소켓임.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래밍이라고도 함. 다른 말로는 TCP/IP프로그래밍이라는 말로 쓸수도 있음. 네트워크로 안 물린 곳이 없기 때문에 소켓을 안쓸 수 없음 IoT 국가간 주고받는 규약을 프로토콜이지만, 컴퓨터에선 무엇을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교신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것인가에 대한 규약을 선언해놓은게 프로토콜. 왜 프로토콜이 있어? 송신자와 수신자는 같은 나라에 있지도 않고, 송신장비도 각각 다 다를 것. 컴퓨터 네트워크 = 데이터를 서로 컴퓨터끼리 주고받는다. 이 말. TCP/IP/UDP I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