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일반 예외
- 항해99
- 다중 catch 블록
- 예외
- throws 키워드
- 예외 처리
- 실행 예외
- 99클럽
- 개발자취업
- 코딩테스트준비
- til
- 예외클래스
- 로켓펀치 #취준컴퍼니 #취업 #일상 #취준생
- try-catch-finally 블록
- Today
- Total
목록CS (15)
innn
회사에서 로그인 구현 전에 헷갈리는 개념들을 미리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회사에선 일단 다짜고짜 구현해서 시간 안에 완성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이렇게 밀린 개념공부를 주말에 채워야한다. 고로 이거슨 로그인 구현 과정을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한 1탄.. 인증(Authentication) 인증은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사용자가 자신이 이 웹페이지의 회원이 맞는지 확인하는 것이 인증이다. 인증 과정은 보통 로그인 시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추가적으로, 이중 인증, 생체 인증, OTP(한 번 사용할 수 있는 1회용 비밀번호)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인증은 시스템이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첫 단계다. 인가(Aut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y8jf/btsDlmSb0Rg/B7By03MknyegFh4eBckMyK/img.jpg)
OSI 7 계층이란? OSI 7 계층이란,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이 수행되는 과정을 7단계로 표현한 것을 의미합니다. 전체 과정이 구분된다는 점에서 네트워크 상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이를 해결하기 용이해집니다. 이상 현상이 발생한 계층의 장비만 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계층도입니다. 1계층 Physical Layer 물리계층이라고도 표현 기계의 전기적인 특성을 활용해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는 계층 이때 실질적으로 우리가 랜선이라고 표현하는 통신 케이블 등이 이러한 1계층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물리적으로 가능하게 만들어줍니다. 기계의 전기적인 특성을 활용하여 통신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비트(bit) 단위로 0 혹은 1을 의미하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eUJm/btsDj36DA5O/MJqJMmTjppTUnJuN6SCbXk/img.png)
강의 목표 MAC주소, IP주소, Port번호는 어디에 부여하는 것이며, 식별자로서 어떤 대상을 식별하는 걸까? Transport 단에선 Port 번호 ⇒ Process 식별자 / Service 식별자 / 인터페이스 번호 Networtk 단에선 IP주소 (v4, v6) ⇒ Host에 대한 식별자임 Host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한 컴퓨터에 IP 주소는 몇 개 ? ⇒ N개 IP 주소는 NIC 하나에 여러개를 바인딩할 수 있음 H/W 단에선 MAC 주소 ⇒ NIC에 대한 식별자임 NIC(LAN 카드) :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는 장치 예시) 한 대의 노트북에 유/무선 LAN 카드가 있다면(= 한 대의 노트북에 NIC이 2개가 있다면), MAC 주소도 2개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ghkNa/btsDkM4lqKJ/9oqqfQcgevGGCaKKuZTkj0/img.png)
https://www.youtube.com/watch?v=k1gyh9BlOT8&list=PLXvgR_grOs1BFH-TuqFsfHqbh-gpMbFoy (위의 강의를 듣고 정리한 필기입니다. 강의가 재밌어요. 강추!!) TCP/IP Network를 배우려면? OSI 7Layer 외우려 하지 ❌ 이유 : OSI 7계층은 완벽히 ‘개념’을 다루고 있는 부분 TCP / IP, HTTP 를 공부해라 개념(Abstraction) VS 사실(Implementation) 사람 ⇒ 개념 vs 김철수, 김영희 ⇒ 사실이자 실체 (Implementation) OSI 7 Layer ⇒ 개념 vs TCP/IP + HTTP ⇒ 실체, 구현 위의 예시처럼 추상화된 이상적 부분이 OSI 7 Layer이기 때문에 먼저 실체인 구현 파..
aws 홈페이지에서 api와 restful api에 대해 설명하는 글이 있어서 내가 사용해본 api를 떠올리며 1회독 하며 정리해봤다. aws에 좋은 글 많은듯. RESTful API란 무엇인가요? RESTful API는 두 컴퓨터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우리가 사용하거나 만드는 애플리케이션들(= 앱)은 다양한 기능을 위해 다른 내부 애플리케이션 및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해야한다. aws 공홈에서 든 예시로는, 월간 급여 명세서를 생성하려면 인보이스 발행을 자동화하고 내부의 근무 시간 기록 앱과 통신하기 위해 내부 계정시스템이 데이터를 고객의 뱅킹 시스템과 공유해야한다. 이때 RESTful API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통..
짧은 서론 : 11월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충실하게 공부해보자는 의미의 달로 정했다. 이번주부터 시작한 자료구조 스터디에서 배운 내용을 블로그에 최대한 나의 언어로 잘 정리하는 것이 목표. 배열 연관된 데이터를 연속적인 형태로 구성된 구조다. 배열에 포함된 원소는 순서대로 index(번호)가 붙는다. 배열의 특징 -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일반적으론 동적으로 크기를 늘릴 수 없다. (다만, 내가 주로 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처럼 대부분의 스크립트 언어는 동적으로 크기가 증감되도록 만들어졌다. 내가 자바를 배웠을 때는 어레이의 크기와 어레이에 들어갈 타입을 미리 지정해서 선언했던 걸로 기억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선 한 어레이에 스트링, 넘버 다 들어갈 수 있다.) - 원하는 원소의 index를 알고 있다면 O(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YGOv/btrHJ1c9a2T/zRnWHZjKhH6uZUQ0vawCK0/img.png)
데이터베이스 부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고, 단계와 도부이결다조(각 단계별 정규화 특징)까지 외웠지만 내 뇌에 정확히 장착된 느낌은 전혀 아니어서 정리해본다. 믿을 수 있는 책을 기반으로 최대한 정규화에 대한 많은 정보를 필타하면서, 꼭꼭 이해해두록하자~! 정규화란? 잘못 설계된 테이블을 수정해서 정상으로 만드는 과정. 잘못 설계된 테이블엔 삽입, 삭제, 수정(갱신)과 같은 이상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현상은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훼손하여 중복된 데이터 등 데이터의 무결성이 깨진다. 이를 해결하려면 테이블의 속성 간 함수 종속성을 파악하여 몇 가지 규칙에 따라 테이블을 분해해줘야 한다. 먼저 이상현상에 대해 알아보자. 정규화를 하는 목적이 테이블 설계에서 발생한 이상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이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b9AFr/btrHJirjryN/DHQDxBB58YczGfpnwErMm0/img.png)
트리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PL SQL 프로시저로 삽입 작업을 하면 좀 더 복잡한 조건의 삽입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 Z크리에이트 오어 리플레이스 프로시쥬어 하고 프로시저 이름 (괄호 열고 변수명 IN 변수타입(숫자) IN 바깥에서 쏴주는 데이터를 얘가 받겠다. AS 다음에 변수를 선어하는데 여긴 간단한 프로그램이라서 변수는 없다 BEGIN INSERT 로 시작해서 VALUES로 값을 넣는다. 12번라인부터는 실행하는 프로시쥬어다 EXEC >>> 실행하는 부분 () 괄호 안 데이터가 파라메타 myBookID, myBookName 등 매개변수로 들어감. 패치 = 다른데서 읽어올때 패치라고 함. 은행 업무에서 A계좌에서 B계좌로 이체할때 A계좌 인출 업데이트, B계촤 입금 업데이트 이렇게 전체 과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