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코딩테스트준비
- 예외
- 99클럽
- 다중 catch 블록
- try-catch-finally 블록
- 일반 예외
- 예외 처리
- 개발자취업
- 항해99
- 예외클래스
- 실행 예외
- throws 키워드
- 로켓펀치 #취준컴퍼니 #취업 #일상 #취준생
- til
Archives
- Today
- Total
innn
[네트워크 기초 이론] TCP/IP Network를 배우려면? 본문
https://www.youtube.com/watch?v=k1gyh9BlOT8&list=PLXvgR_grOs1BFH-TuqFsfHqbh-gpMbFoy
(위의 강의를 듣고 정리한 필기입니다. 강의가 재밌어요. 강추!!)
TCP/IP Network를 배우려면?
- OSI 7Layer 외우려 하지 ❌
- 이유 : OSI 7계층은 완벽히 ‘개념’을 다루고 있는 부분
- TCP / IP, HTTP 를 공부해라
개념(Abstraction) VS 사실(Implementation)
- 사람 ⇒ 개념 vs 김철수, 김영희 ⇒ 사실이자 실체 (Implementation)
- OSI 7 Layer ⇒ 개념 vs TCP/IP + HTTP ⇒ 실체, 구현
- 위의 예시처럼 추상화된 이상적 부분이 OSI 7 Layer이기 때문에 먼저 실체인 구현 파트를 공부하는 것이 낫다.
분류 기준별 컴퓨터 세상의 세 계층
- user mode 영역 (Application, OS 수준)
- kernel mode 영역
- H/W 영역
필기에 대한 상세 설명
- OSI 7 Layer와 같이 7 계층으로 나누거나, DoD(Department of Defence)에 의해서 4 계층으로 나눌 수 있음
- OSI 7 Layer나 DoD와 같은 개념을 구현한 영역이 제일 오른쪽 영역
- Http, Process 부분, File, Socket이 user mode 영역에 속한다.
- 이때 File이란, 커널의 구성요소를 user mode Application으로 추상화할 때 file 형태로 추상화함
- 이때 Socket이란, TCP를 user mode Appllication이 접근할 수 있도록 file 형식으로 추상화한 인터페이스
- 어떤 프로세스가 어떤 프로토콜을 커널의 구성 요소로 추상화했는데 네트워크에 관련된 것일 때, 이때 이 커널 요소를 추상화한 파일은 파일이라고 하지 않고 Socket이라고 부른다.
- Http, Process 부분, File, Socket이 user mode 영역에 속한다.
- DoD 기준에서의 각 계층에서 식별자가 존재
- Access 계층의 식별자 ⇒ MAC 주소
- Network 계층의 식별자 ⇒ IP 주소
- Transport 계층의 식별자 ⇒ Port 번호
- 구현단에서 NIC 란?
- NIC (Network Interface Card) 컴퓨터 네트워크 카드이다.
- 이 카드는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 NIC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마더보드에 내장되어 있거나, 확장 슬롯을 통해 추가해줄 수 있다.
- 네트워크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데 사용한다.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증과 인가와 둘의 차이점은 ? (0) | 2024.02.17 |
---|---|
[컴퓨터네트워크 스터디 1주차] OSI 7계층과 TCP/IP (0) | 2024.01.11 |
[네트워크 기초 이론] MAC주소, IP주소, Port번호가 식별하는 것 (0) | 2024.01.11 |
[AWS가 알려주는] API와 RESTful API (0) | 2023.11.24 |
네트워크와 월드 와이드 웹 (0) | 2022.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