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throws 키워드
- 실행 예외
- 예외
- 다중 catch 블록
- 개발자취업
- 일반 예외
- 예외클래스
- 99클럽
- try-catch-finally 블록
- til
- 로켓펀치 #취준컴퍼니 #취업 #일상 #취준생
- 예외 처리
- 코딩테스트준비
- 항해99
- Today
- Total
목록innn (166)
inn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JDafs/btrNqW3TBtk/eTJDxTe1i3ECZaPhiwxKl1/img.png)
비교 연산자 파이썬에선 6개의 비교 연산자 사용. 내용은 자바랑 똑같으므로 패스. == 같다 != 다르다 크다 = 크거나 같 비교 연산자는 숫자에 적용할 수 있다. >>> print(10 >> x = 25 >>> print(10 >> if 조건문을 입력하고 Enter키를 누르면 다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zFa5/btrNunNn4hA/61qKVxY6M38xcPGA2Vr4fK/img.png)
https://www.acmicpc.net/problem/2438 2438번: 별 찍기 - 1 첫째 줄에는 별 1개, 둘째 줄에는 별 2개, N번째 줄에는 별 N개를 찍는 문제 www.acmicpc.net input()으로 숫자를 받은 후 포문을 사용해서 받은 숫자만큼 *1을 해서 출력하는 간단한 문제. 1. N에 입력받을 숫자를 input()으로 받아 int()로 형변환(숫자로) 해준다. 2. for 문을 돌린다. 이때 i 는 1부터 n+1의 범위 만큼 돌아간다. i는 포문에서 하나씩 증가할 지역변수이고, i의 범위는 1부터 n까지다. ** 다만 파이선에서 for문을 사용할 때 범위 설정이 자바와 다른 지점은 range의 첫번째 인자로 초기값(여기선 1) 두번째 인자로 종료값(n+1)을 넣는 것이다. ..
문자열 내부에 표현식을 삽입하고 싶을 때는 다음과 같이 문자열 연결 연산자를 사용한다고 배웠다. >>> "3 + 4 = " + str(3 + 4) '3 + 4 = 7' 여기서 str() 함수는 왜 사용할까. 문자열과 숫자를 단순하게 + 연산자로 연결하려고 하면, 자바와 달리 파이썬은 '지금 숫자 덧셈 연산을 해야하는지, 문자열 연결 연산을 해야하는지 모르겠다!'고 판단하여 TypeError 오류를 출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현식 (3 + 4)의 숫자 결과를 문자열로 바꾸기 위해 str() 함수로 감싸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표현식을 여러 개 삽입할 때마다 str() 함수로 감싸는 것 자체가 귀찮을 것이다. 이럴 때 편리한 것이 format() 함수다. format() 함수의 매개변수를 {} 기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P0Qsl/btrNre3KKBD/cG9ELr5ZUiHWhJxKVKDk11/img.png)
https://www.acmicpc.net/problem/2884 2884번: 알람 시계 상근이는 매일 아침 알람을 듣고 일어난다. 알람을 듣고 바로 일어나면 다행이겠지만, 항상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 때문에 매일 학교를 지각하고 있다. 상근이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보았지만, www.acmicpc.net 조건식 누가 더 간단히 세우느냐 같은 문제였다. 45분 일찍 맞추는 것이므로 m 45 보다 큰 경우엔 그냥 m-45를 출력해준다. h도 그대로이다. 특이 지점은 h가 0일 때인데, 이는 제일 마지막 조건문에 넣어준다. h == 0 and m < 45 의 경우에만 조건식을 설정한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wtMcE/btrNoDpYYV3/smON39gCYRMJMH65Pm1oy0/img.png)
https://www.acmicpc.net/problem/2753 2753번: 윤년 연도가 주어졌을 때, 윤년이면 1, 아니면 0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윤년은 연도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닐 때 또는 400의 배수일 때이다. 예를 들어, 2012년은 4의 배수이면서 www.acmicpc.net 4의 배수 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니거나 또는 400의 배수여야 윤년으로 표기하는 문제. 변수 year을 4로 나눈 나머지값이 0 ( year % 4 == 0 ) 변수 year을 100으로 나눈 나머지값이 0이 아닐때 (year % 100 != 0) 변수 year을 400으로 나눈 나머지값이 0일때 (year % 400 == 0) 이런식으로 조건식을 선언해주면 된다. n의 배수 라는 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oCYw/btrNkD5Inpy/qGfok7F8SEFr19vy6baHe0/img.png)
https://www.acmicpc.net/problem/14681 14681번: 사분면 고르기 점 (x, y)의 사분면 번호(1, 2, 3, 4 중 하나)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읽고 나면 그냥 조건문 사용하는 기본 문제다. 말만 4분면 어쩌구임. 그래도 일단 문제를 읽고 노트에 먼저 써놓고 푼다. 최종 코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jD2X/btrNqL8tqMx/VZQS0iNVOHykYjDmuHXT7K/img.png)
https://www.acmicpc.net/problem/9498 9498번: 시험 성적 시험 점수를 입력받아 90 ~ 100점은 A, 80 ~ 89점은 B, 70 ~ 79점은 C, 60 ~ 69점은 D, 나머지 점수는 F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if else 문 쓰는 기본 문제 삼항연산자로 먼저 풀어 제출했다. 코드 1 코드 2 다만, 내가 자바 때문에 if (조건식) 뒤에 : 를 꼭 붙여야한다는 것을 까먹는다!!!! ** 형식 if(조건식) : 리턴값 elif (조건식) : 리턴값 else : 리턴값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4M6TK/btrNqaUVYIE/SrzxpOTmlO5T7mYjJdJEe0/img.png)
https://www.acmicpc.net/problem/1330 1330번: 두 수 비교하기 두 정수 A와 B가 주어졌을 때, A와 B를 비교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두 수를 공백을 기준으로 나누어 int형으로 변환해 받아둔다. >>>> A, B = map(int, input().split()) if 문 혹은 삼항연산자를 사용하여 두 수의 조건에 맞는 연산자 기호를 출력해준다. 코드 1 (if - elif - else 사용) 코드 2 (삼항 연산자 print() - else print() if - else print()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