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nn

리액트 3주차 본문

FE/React

리액트 3주차

33삼 2022. 10. 27. 23:00

리액트의 특징인 SPA 
페이지를 하나로 묶어서 렌더링을 해준다.
그래서 HTML 파일 로 하나로 묶어서 여러가지 페이지를 보여줄거다.
 
 
APP.JS에 컴포넌트를 만든다, 내가 보여주고 싶은 화면을 만든다.
이 app컴포넌트가 index.js에 의해서 렌더링된다 
그 결과가 index.html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다. 
 
 
내가 만들고 싶은 화면을 app.js에서 만들고
 
변수들은 return 밖에 작성하면 됨. 
자바스크립트 표현을 할 때는 중괄호로 감싸주어야 한다. 

 
if문 대신에 조건문 연산자를 사용한다. 
변수를 설정할 땐 state와 props 
컴포넌트 안에서 이루어지는 변수를 설정할땐 state
state를 사용할땐 우리는 useState라는 훅을 사용할 것이므로 useState를 위에 임포트 해줘야한다.
const [ a, setA ] = useState(0);
배열을 만들어준다.
첫번째는 변수 이름a을 넣어주고, 두번째는 그 state를 조작할 함수 이름setA을 넣어주면 된다. 
useState();에는 초기화를 할 값 0을 넣어준다. (초기화할 값은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리액트는 언제나 렌더링을 최소화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는 것을 생각해야함.
 
 
변경하는 변수인데 왜 let이 아닌 const 이냐?
렌더링 됐을 때 이전과 상관없이 
동일한 스코프에 다시 할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const로 설정해준다. 
 

 
 
props란 ?
한 컴포넌트에서 다른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쓰는 것이 props
 
 

전달해야할 값이 저렇게 많을 땐 props 로 쓰고 props.counts 해서 선택적으로 설정해줄 수 있다.

 

props가 하나일 땐 그냥 변수명을 적어줘도 된다.

 
외부 컴포넌트를 불러올땐 반드시 임포트를 시켜줘야한다.
그리고 컴포넌트명은 무조건 대문자여야함. 아니면 읽혀주지 않는다.

 
 
전달받을 props 이름을 names로 
 
 

 
names는 속성이니까 컴포넌트의 속성인 <NameView names={name} /> <>괄호 안에 넣어준다.
 
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쓰는 거고 
props 는 다른 컴포넌트 전달할 때 쓰는 거
 

'FE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n] bun에서 devDependencies 추가할 때  (0) 2023.11.14
[React] 공식문서가 알려주는 state 구조 잘 짜는 방법  (0) 2023.11.14
JSX 문법 9가지 규칙  (0) 2022.10.25
JSX란 무엇인가  (0) 2022.10.25
웹 1주차  (0) 2022.10.05